나사, 너트, 볼트 및 와셔는 모두 C-Parts입니다. 재고의 65-75% 를 차지하는 C-Parts는 작고 저렴하여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통해 C-Parts 재고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Supply Chain Management
스마트 재고 및 C-Parts 관리
공급망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스마트 재고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고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C-Parts 정의
C-Parts는 나사, 볼트, 너트, 와셔 등 체결 및 연결을 위한 핵심 부품군으로 완구, 가전, 전자기기, 자동차 등 거의 모든 제조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수십억 개의 체결 부품이 소비되고 있으며, 생산성과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ABC 분석 기준에서 C-Parts는 단가가 낮은 부품군에 속하지만, 전체 부품 수의 65~75%를 차지하며, 공정 효율성과 제품 완성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C-Parts 관리
C-Parts 관리는 저단가 고빈도 부품의 조달, 재고, 공급, 사용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하는 솔루션입니다. 적절한 전략 없이 운영할 경우, 단가 대비 과도한 관리 비용과 운영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계적인 C-Parts 관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C-Parts 관리 효과
- 프로세스 최적화 - 수요 예측, 주문, 공급, 보관 등 전 과정 자동화 및 간소화
- 병목 현상 제거 - 재고 부족으로 인한 생산 지연 및 중단 리스크 최소화
- 자본 효율성 향상 - 과잉 재고 방지 및 핵심 영역에 자금 재투자 가능
C-Parts 관리 전략
효율적인 C-Parts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합니다.
- 품목 표준화 및 재고 수준 최적화
- 반복 주문 자동화 및 디지털 발주 시스템 도입
- 납기 안정화 및 물류 흐름 간소화
- 공급사 통합 관리 시스템 도입
-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Smart Inventory Management) 도입
스마트팩토리 로지스틱스
Bossard의 스마트팩토리 로지스틱스 서비스를 통해 물류 및 제조 라인의 물류 흐름을 검토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스마트 솔루션과 시스템을 제안드립니다. 재고 관리 부분에서 사용되는 인력과 비용을 최저로 절감할 수 있습 니다.
자세히 알아보기TCO(Total Cost of Ownership)와 C-Parts
TCO 개념 (총 소유 비용)은 구매 또는 투자 시 단순한 구매 가격뿐만 아니라, 자산의 전체 수명 주기 동안 발생하는 모든 직·간접 비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비용 평가 기법입니다.
스마트 재고관리 시스템을 통한 TCO 절감
C-Parts 관리에 TCO 개념을 적용하면 숨겨진 운영 비용을 가시화하고, 전략적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반복적인 수작업 발주
- 입고 및 포장 해체 작업
- 창고 내 이동 및 보관 비용
- 조립 중 비효율적 자재 흐름
- 재고 점검 및 관리 인력 소요
TCO를 활용 C-Parts 재고 관리 비용 절감
TCO(Total Cost of Ownership, 총소유비용)는 비용 구조를 파악하고, 적절한 솔루션을 통해 프로세스 비용을 절감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TCO 분석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영역이 최적화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공급업체
- 주문 빈도
- 주문 금액
- 주문 방식
- 연구개발(R&D) 프로세스
- 생산
- 조립
- 품질 관리
- 서비스
- 관리 업무
- IT
각 항목에는 명확한 비용 요소가 존재하지만, 앞서 언급했듯 쉽게 보이지 않는 숨은 비용들도 있습니다. 각 항목 안에는 개선할 수 있는 요소들이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프로세스 단계를 얼마나 세분화하느냐에 따라 더욱 구체적인 비용 분석이 가능합니다. 비용 절감 기회는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작은 요소 하나가 C-Parts의 총소유비용(TCO)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TCO 분석에서 발견된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
다음은 개선이 필요한 영역과 이에 적합한 솔루션의 사례입니다:

SmartBin Cloud – 주문 프로세스 개선
주문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면, 스마트팩토리 로지스틱스와 같은 스마트 재고 관리 서비스를 통해 주문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Bossard의 SmartBin Cloud는 현재 재고 수준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정된 수량의 부품을 자동으로 주문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작업 셀 또는 조립 라인에 설치할 수 있으며, 적절한 시점에 필요한 부품을 주문해 바로 사용 지점(Point of Use)으로 전달되므로 대기 시간과 물류 이동을 줄일 수 있습니다.
Smart Factory Logistics – 조립 공정 문제 해결
TCO 분석 결과, 조립 공정에서 문제가 발견되었 다면, 일반 나사에서 프리코팅 나사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프리코팅 나사는 조립 시 별도의 윤활 처리가 필요 없어, 윤활유와 브러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립 시간 또한 단축됩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TCO 분석을 통해 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중 일부일 뿐입니다.
TCO를 활용한 공급망 관리 최적화 방법
위의 목록은 개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영역을 포괄하지는 않습니다. 눈에 보이는 명확한 비용 외에도,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숨은 기회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각 기업에는 고유한 비용 절감 기회가 존재하기 때문에, TCO 계산은 개별 기업에 맞춰 맞춤형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실제 사례들을 보면,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특히 C-Parts관리 영역에서 고유한 비용 절감 기회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세인트 갈렌(St. Gallen) 대학교 기술경영연구소에서 개발한 TCO 툴과 같은 도구를 활용하면, 자사에 특화된 TCO 계산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숨겨진 비용을 파악하고 C-Parts 관리 프로세스를 스마트하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