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아연도금 (Zinc Electroplating)

ISO 4042 규격 준수
전기아연도금은 금속 표면에 아연층을 입혀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표면 처리 기술입니다. 아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금속을 담그고 전류를 흘려 아연을 금속 표면에 부착시키는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후처리 공정 – 패시베이션 (Passivation) : 패시베이션(Passivation)은 금속 표면에 보호 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을 방지하는 공정입니다. 특히 스테인리스강과 같이 부동태화가 가능한 금속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부동태화는 금속 표면에 형성된 산화 피막이 내부 금속의 부식을 억제하는 현상을 말하며, 패시베이션 공정은 이러한 부동태 피막을 강화하거나 인위적으로 형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소취성 완화 : 도금 후 저온 열처리를 통해 수소 취성(Hydrogen Embrittlement)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 수소취성을 완전히 방지하려면 기계아연도금 또는 아연플레이크코팅(아연분말코팅)과 같은 대체 공정을 고려해야 합니다.
기계아연도금 (Mechanical Zinc Plating)

ISO 12683 규격 준수
기계적 아연 도금은 고강도 및 고경도 강재 파스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소취성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는 코팅 방식입니다. 이 공정은 부품을 전용 화학물질, 유리 비드, 아연 분말과 함께 배럴에 넣고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회전 중 유리 비드가 아연 분말을 부품 표면에 기계적으로 충돌시켜 도금을 형성합니다. 단순한 형상의 화스너에 적합하며, 모든 표면에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전기아연도금과 유사하게 패시베이션 및 실란트 등의 후처리 공정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연플레이크코팅(아연분말코팅, Zinc Flake Coating)

ISO 10683 규격 준수
아연 플레이크 코팅은 비전해 방식으로 적용되며, 고강도 파스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소취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 이 코팅은 아연 및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포함된 바인더를 사용하여 도포되며, 일반적으로 침지(dip), 원심 탈액(centrifuging), 열경화(baking) 공정을 거쳐 완성됩니다. 우수한 내식 성능을 제공하지만, M5 이하의 나사산이나 소형 내부 구동부를 가진 화스너에는 적용이 권장되지 않습니다. 또한, 무기 또는 유기 탑코트를 추가 적용할 경우, 내식성이 더욱 향상되며 외관 품질도 향상됩니다.
용융 아연 도금 (Hot-Dip Galvanizing)

ISO 10684 규격 준수
용융 아연 도금은 530°C 이상의 고온 아연 용탕에 부품을 침지하여 표면에 아연층을 형성하는 고내식성 코팅 방식입니다. 침지 후 원심 탈액(Centrifuging) 공정을 통해 과도한 아연을 제거하고, 일반적으로 약 40~60μm 두께의 균일한 코팅층이 형성됩니다.
전해 도금 대비 우수한 내식 수명을 제공하지만, 두꺼운 도금층으로 인해 나사산 공차 보정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M8 이상의 체결 부품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